은평구사회적경제허브센터, 소셜비즈니스모델 이해와 수립 교육 진행사회적가치연구소 배성기 소장, 예비 사회적경제기업자 대상으로 강의사회적가치연구소 배성기 소장은 6월 25일(수), 은평구사회적경제허브센터 3층 강의실에서 사회적경제기업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사회적경제기업가 대상으로 ‘소셜 비즈니스 모델 이해와 수립’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심도있는 설명과 더불어 비즈니스모델 캔버스(BMC)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교육은 1. 사회적경제기업, 2. 사회적경제활성화 정책, 3. 사회적경제기업 사례, 4. 사회적경제기업의 구성요소 비즈니스모델 캔버스(BMC), 5. 사업아이디어 공유 워크숍 과 같은 목차로 구성됐다.
먼저 사회적경제기업의 정의와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의 사회적기업 유형을 살펴보면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강연참석자들의 이해도를 높였고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비즈니스모델을 고도화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비즈니스모델 차별화 전략으로 5가지 요소를 설명하면서 기존 제품과 어떤 점이 다른지, 어떻게 서비스를 차별화할 것인지, 어떤 계층의 사람들을 유효고객으로 특정할 것인지, 어떤 채널을 활용할 것인지, 고객에게 어떤 이미지로 다가갈 것인지 5가지 측면에서 차별화 전략을 계획하고, 가치공유와 관련해 우리 지역사회가 행복해지는 데 필요한 활동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소셜비즈니스모델 수립에 필수적 요소임을 설명했다.
다음으로 크록스, 지비츠, 에어비앤비 등 혁신적인 비즈니스모델 사례와 함께 울산제과점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을 설명하고 반찬가게 비즈니스모델을 통해 가치제안, 고객세분화, 채널, 수익원, 고객관계, 핵심파트너의 측면에서 구체적 예시를 확인하면서 비즈니스모델 수립전략을 제시했다.
이어 사회적경제육성정책에 대한 설명을 이어나갔다. 사회적경제 기본법안, 사회적경제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특별법안, 공공기관의 사회적가치 실현에 관한 기본법안 등 입법추진 과정을 확인하고, 2025년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지표매뉴얼, 2023년 사회적경제 주요사업 안내, 소액수의계약 업무매뉴얼, 서울특별시 은평구 사회적경제 기본조례 등을 살펴보면서 정부 및 지자체의 사회적경제 육성정책에 관해 확인했다.
아울러 메자닌아이팩(주), 한빛예술단, 디딤돌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주식회사 해피맘하우스, 오가니제이션요리, 유한회사 행복도시락, 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주), (재)아름다운가게, ㈜트레블러스맵, 셰어하우스우주 주식회사, 사단법인 감천문화마을주민협의회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기업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설명하여 교육참여자들이 창업준비 시 참고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 특히 사회적경제기업을 창업하기 위한 교육 수강생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비즈니스모델 캔버스(BMC)의 구성요소 중심으로 비즈니스모델 사례를 분석하고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구성요소인 사회문제, 소셜미션, 고객관계, 고객가치제안, 고객경로, 핵심활동, 핵심자원, 핵심파트너, 소요비용과 수익, 경제적 성과, 사회적성과, 환경적 성과를 중심으로 비즈니스모델 캔버스를 작성하는 실습시간을 가졌으며 이를 통해 예비사회적경제기업가들의 창업 역량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끝으로 배성기 소장은 사회적경제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기초는 사회적 가치의 창출로,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과와 환경적 성과까지 이루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강의를 마쳤다.
한편, 사회적가치연구소는 사회적 경제, 사회적 가치, 사회적 책임조달, 공공기관 우선구매, 사회적 책임, ESG 교육을 실시해 공무원 및 공공기관, 비영리기관 등을 대상으로 공동체 편익을 증대시키는 가치 추구, 시민사회 및 공공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기관이다. 사회적가치연구소는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 ESG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의 구현, 평가, 측정 방법을 모색하고 관련 사례 교육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기관 여건에 맞는 교육 콘텐츠로 방문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사회적경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